2012. 6. 22. 23:13ㆍ불교이야기/성암사 다라니108순례
무량사
일시:2012년 6월17일
전화:041-836-5066
충남부여군외산면무량로 203
충청남도 부여군 만수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무량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만수산은 충청남도 보령군과 부여군의 경계를이루는 산으로 해발 575m 에 이르며 주봉인 문수봉을 중심으로 비로봉 남능으로 이어진 옥마산(602m)
성주산(680m) 과 인접해있다 산세가 8개의 계곡이 마치 연꽃처럼 펼쳐있고 노송과 천연림이 조화를 이룬 빼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무량사는 신라통일 말 9세기에 통효국사 범일이 창건하였으며 범일과 동 시대에 활동했던 무주무염도 이곳에 머물렀다 한다 무량사는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고 조선에 와서는 사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이 이곳에서 수행하고 입적 하였으며 그의 영정은 산신각에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을 올린 주심포 건물로 어칸은 사찰을 들어서는 출입구입니다. 양쪽 협칸에는 각 2구씩의 사천왕상이 안치되어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있습니다. 천정은 서까래를 노출시킨 연등구조입니다
우리스님 마지공양을 받아 높이들어 보이고 있습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에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창호는 띠살창으로 짜아 각 2분합의 믄을 달았습니다. 내부의 바닥은 마루를 깔고 천정은 반자로 마감시설을 하였습니다.
안에는 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인왕상 등이 모셔져 있습니다
5층석탑 보물 제 185호
무량사는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탄 뒤 인조 때에 중창하였으니 이 극락전도 그때에 지은 것으로 조선 중기 건축의 장중한 맛을 잘 드러내어 주어 보물 제35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무량사 극락전은 우리나라 3대 불전으로 유명하며 주불은 아미타 부처님이시며 그 높이가 5 미터 40센치나 되는 동양 최대 좌불상 입니다
얕게 네모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4개의 초석을 두어 기둥을 세워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짜올린 익공식(翼公式)으로 겹처마에 모임지붕을 올렸습니다. 천정은 서까래를 노출시킨 연등구조입니다. 중앙에는 1636년에 조성한 조선중기 범종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무량사 주지스님 우리 도반들께 격려의 인사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조선 세조때 생육신의 한 분인 매월당 김시습이 생을 마감한 장소가 바로 만수산 무량사입니다. 당시 김시습이 생을 마감하기 위한 장소로 무량사를 선택할 이유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 하였습니다. “험하고 외진 곳이기 때문에 백 년이 지나도 나를 귀찮게 할 관리 하나 없을 것이다” 김시습은 수양대군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접하고 세상을 비관하여 책을 불사르고 스님이 되어 유랑생활을 하다가 말년에 무량사에 들어와 59세 때 입적하였습니다.
무량사 어떤 산사이었기에 김시습이 이곳을 선택하였을까요. 무량사는 영원한 생명을 누릴 수 있는 극락세계입니다. 무량사는 태어나면 죽음을 맞이하는 중생세계가 아닙니다. 권력과 재물에 탐을 내어 질서와 윤리를 파괴하는 사회가 아니며, 번뇌와 갈등으로 고민하는 세계도 아니며, 어리석은 판단으로 남에게 피해를 주는 세계도 아닙니다. 밝은 지혜로서 인간들에게 광명과 아름다움을 주는 깨달음의 세계입니다.
김시습은 생을 마감하기 위해 무량사에 온 것이 아닙니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찾은 것입니다. 세속의 모든 것을 정리하여 마지막 남은 육신의 찌꺼기를 버리고, 아름다운 세상 지혜로운 세계에서 영원한 삶을 누리기 위해 무량사에서 다시 태어난 것입니다.
무량사는 김시습의 흔적이 살아있는 도량입니다. 김시습이 무량사에 남긴 흔적이 과연 무엇일까요. 경내에는 김시습의 영정과 부도만 남아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김시습이 남긴 것은 영겁을 삶을 살기 위해 무량사를 찾았다는 사실입니다. 그 사실이 우리들로 하여금 김시습을 영원히 가슴속에 간직하게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무량사에서 우리들은 눈에 보이는 김시습의 흔적만을 보지 말고, 보이지 않는 진리와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불교이야기 > 성암사 다라니108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차 다라니순례 칠갑산 장곡사(3) (0) | 2012.06.23 |
---|---|
제21차 다라니순례 부여 미암사 (2) (0) | 2012.06.23 |
제20차 다라니순례 무주 안국사(3) (0) | 2012.06.03 |
제20차다라니순례 함양 영각사(2) (0) | 2012.06.03 |
제20차다라니순례 함양 용추사 (1) (0) | 201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