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 10. 21:17ㆍ불교이야기/불교이야기
≪예상문제 20회≫
1. 부처님이 출가하여 수행을 시작할 무렵 인도사회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① 사람들은 우파니샤드 사상에 대해서 실망하기 시작했다.
② 상업 교역이 매우 활발한 시기였다.
③ 상인층은 교역으로 인한 재산을 축적하여 사회적 영향력도 커졌다.
④ 지역에 따라 브라만교에 대한 불만이 커져 갔다.
2. 부처님의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항목을 고르세요.
① 기존의 수행 방식에 따라서 고행을 했다. ② 처음에는 선정을 위주로 수행했다.
③ 출가 직후에는 스승이 없이 혼자서 선정 수행을 시작했다.
④ 기존의 사문들이 하는 수행 방법에 만족하지 않았다.
3. 초기 불교의 특징으로 바른 것을 고르세요.
① 부처님은 기존의 사문 사상을 답습했다.
② 부처님의 초기 가르침은 매우 독창적이었고 합리적이었다.
③ 초기 불교의 교리는 브라만교와 유사했다.
④ 초기 불교의 진리는 자이나교와 다를 바 없었다.
4. 부처님께서 전법을 시작할 때의 상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부처님은 타심통을 이용해서 외도를 설복시켰다.
② 때로는 부처님께서 신족통을 이용하여 설복시킨 적도 있었다.
③ 부처님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침묵을 대화법에 사용한 적도 있다.
④ 부처님을 만나는 모든 사람들이 그 즉시 귀의했다.
- 아지위까 교도 우빠까나 뱃사공 등은 부처님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5. 초기 불교의 교리와 전통에 대한 설명 중에서 바른 것은?
① 한국의 대한불교조계종은 초기 불교의 전통을 이어받은 대승 불교파이다.
② 대승 불교에서는 초기 불교의 교리를 부정하고 있다.
③ 밀교를 따르는 티베트 불교는 초기 불교 교리와 전혀 다르다.
④ 대승 불교의 교리를 믿는다면 초기 불교의 수행법을 실천할 수 없다.
6. 12처(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12처란 현실 세계를 분석한 초기 불교의 가르침이다.
② 12처만 알면 우리는 모두 그 즉시 부처라고 할 수 있다.
③ 12처는 세계를 인식 주관과 객관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한 불교적 진리이다.
④ 여섯 가지 인식 대상은 특별히 6경(境)이라고 분류한다.
7. 삼법인(三法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이 셋이 삼법인이다.
②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 이 셋이 삼법인이다.
③ 초기 불교 시대에는 대체로 삼법인을 열거하지만, 대승 시대에 이르러서 사법인으로 정형화되었다.
④ 사법인(四法印)과 삼법인은 전혀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8. 모든 존재는 한 순간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영원할 수도 없다는 의미의 진리를 담고 있는 말은?
① 제행적정(諸行寂靜) ② 일체개고(一切皆苦)
③ 제행무상(諸行無常) ④ 일체개아(一切皆我)
9. 부처님께서 사람들의 능력과 처지 등을 간파한 다음에 그 수준에 맞추어서 각기 설법해 주었던 방식을 일컫는 말은 무엇인가요?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쓰세요.
대기설법(對機說法)
10. 12처(處)에 6식(識)을 더하면 모두 18가지가 된다. 이를 가리키는 교리 용어는 무엇인가요?
18계(十八界)
'불교이야기 > 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엇하러 불교를 하는것인가? (0) | 2014.06.11 |
---|---|
[스크랩] 명상(meditation) (0) | 2014.06.11 |
[스크랩] 2014 포교사고시 예상문제 19회 (0) | 2014.01.10 |
한반도 평화대회 (0) | 2013.10.08 |
부산불교신년하례 법회 (0) | 201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