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0. 22. 23:39ㆍ불교이야기/성암사
영국사
일시:2014년9월21일
삼신 할매바위
종 목 | 천연기념물 제223호 |
---|---|
명 칭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永同 寧國寺 은행나무) |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종교 |
수량/면적 | 1주 |
지정(등록)일 | 1970.04.24 |
소 재 지 |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5-14번지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영동군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에 대한 설명입니다.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약 31m, 가슴높이 둘레 약 11m 정도이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졌으며, 서쪽으로 뻗은 가지 가운데 한 개는 땅에 닿아 뿌리를 내리고 독립된 나무처럼 자라고 있다.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큰 나무로 문화적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영국사 대웅전 앞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의 3층석탑. 보물 제533호. 높이 315cm. 1942년 주봉조사(朱奉祖師)가 대웅전 앞으로 옮겨놓았으며 원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넓은 석단 위에 2층 기단과 3층 탑신이 놓여 있는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3층석탑이다. 하층기단의 면석은 4매로 구성되었고 각 면에는 안상이 3구씩 새겨져 있다. 하층갑석도 4매로 이루어졌으며 각 모서리 끝이 반전되어 있고, 중앙에는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2단 굄이 있다. 상층기단도 4매로 이루어졌으나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 대신에 면을 꽉 채우고 있는 안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상층갑석은 1매로 아래에는 부연(附椽)이 있고, 윗면 중앙면에는 하층 갑석과 마찬가지로 2단 굄이 있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는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옥신석의 각 면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고, 1층 옥신의 한 면에만 자물쇠가 있는 문비가 조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모두 4단으로 처마 끝부분이 심하게 올라가 있으며 윗면에는 옥신을 받기 위한 1단의 각형 굄이 있다. 3층 옥개석의 윗면에는 지름 7.5cm, 깊이 8cm의 찰주공이 있다. 상륜부에는 앙화(仰花)·보륜(寶輪)·보개(寶蓋)·수연(水煙) 등이 남아 있다. 이 석탑은 전체적으로 기단과 옥개석에 비해 옥신석의 폭이 좁아 다소 불안정해 보이고, 둔중한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창단
'불교이야기 > 성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령산 걷기 운동 (0) | 2014.11.23 |
---|---|
제3차 관음 성지순레 지리산 불락사 (0) | 2014.11.02 |
불락사 (0) | 2014.10.20 |
경남불교대학 제31기 입학식 (0) | 2014.10.07 |
영동 영국사에서 한마당 (0) | 201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