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8. 23. 01:14ㆍ불교이야기/성암사 다라니108순례
예천 보문사
일시:2012년8얼19일
주소:경북 예천군 보문면 수계리158번지
전화:054-653-0777
사찰소개
중창주인 보조국사 지눌이 『화엄경』을 읽다 깨달음을 얻은 곳으로 유명한 보문사는 부처님 말씀의 사섭법 중 하나인 동사섭(同事攝)을 실천하는 도량이다. 시골마을, 높지도 낮지도 않은 산중턱에서 지역민과 함께, 지역민 속에서 같은 모습으로 살아가는 절집이 특별한 곳이라기보다 이웃인 듯한 느낌이 나는 곳, 보문사는 바로 그런 절집이다.
보문사 사적비에도 있듯 비록 웅장하고 위용을 갖춘 당우는 없지만 스스로 큰 욕망을 자제하고 작은 것을 자족하여 큰 것을 다스리는 지혜와 넉넉함이 있고, 멋을 부리는 기교와 세련된 조각은 없지만 앉고 누워서 정적삼매를 이루는 데 지장이 없는 당우와 요사가 신축되고 복원된 곳이다.
보무사는 대찰이라 위축됨도, 쇠락해 불편함도 없이 외갓집같이 마음을 편히 내려놓고 부처님을 뵐 수 있는 그런 절집이다.
우리스님 응현스님께서 사진 액자에 있는것 같네요
1988년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03호로 지정된 극락보전은 맞배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를 하고 있다. 1967년에 보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992년에 다시 중수되었다. 이때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춘계(春溪) 장로와 두암(杜菴) 화상에 의하여 1872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양식을 살펴보면, 건물 앞면의 기단부에는 석조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앞 기둥은 주심포계의 1출목으로 꾸미고, 뒷 기둥은 무익공으로 처리하였으며, 안쪽 끝을 보아지로 대들보를 받게 하였다. 가구는 5량(樑)으로 이중량 위에 포대공을 얹은 고졸한 양식이다. 이 건물은 조선 중․후기 건축으로 주심포 양식과 익공 양식이 절충되어 시대적 변화와 추이를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내부 중앙에는 불단 위에 옥(玉)으로 조성한 아미타 삼존불을 봉안하였다. 삼존불은 아미타 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하고 있다. 본존은 오른손을 결가부좌한 무릎 위에 내려놓아 촉지인을 취하고, 무릎 위에 놓은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도록 하였는데 협시보살의 수인도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래 좌상의 뒷면에는 후불탱이 걸려 있고, 불단 옆면에 신중탱이 있다. (출처 : 전통사찰총서 17)
하나같이 열심히 기도하고잇는 모습
보문사 주지 도문스님 고맙다는 인사말씀
도문스님께서는 이사찰 생기고 최고로 많은 불자님이 오셨다며 너무나 반가워 하시고 감탄을 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수많은 불자를 보니 너무반갑고 한국 불교 발전의 비전이 보인다며 마이크를 놓을 줄모른다
2003년 새로 건립한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의 형태이다.
안에는 목조 독성상과 1939년 조성한 칠성탱, 1946년 조성한 산신탱, 1859년(철종10)에 조성한 독성탱이 있다
나한전(羅漢殿)은 맞배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로, 나한전과 산신각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예전의 부속암자인 운계암이 바로 이 건물이었다. 나한전 안에는 최근에 조성한 금동 석가 여래좌상과 나한상 16위, 그리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목조 시자상(侍者像), 동자상(童子像)을 봉안하고 있다. 후불탱은 2001년에 조성한 것이다. (출처 : 전통사찰총서 17)
나한전 앞에 서 있는 석탑으로, 전하기로는 고려시대 지눌 스님이 중창할 때 세운 것이라 전한다. 본래 이 자리는 운계암 자리였으므로 운계암의 석탑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석탑은 나한전 석가 여래상의 이른바 표증석탑(表證石塔)이라고 한다. 크기는 전체 높이 369㎝, 기단 너비 162㎝, 탑신부 높이 197㎝, 기단부 높이 172㎝로 규모가 비교적 작고 다소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그러나 석재를 다듬은 솜씨는 뛰어나고 화려하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기단은 이중기단인데,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자연석으로 된 편평한 받침돌을 지반 위에 놓아 지대석을 삼았다. 하층 기단의 갑석은 1매의 돌을, 중석은 4매의 돌로 짜 맞추었다. 3층 옥개석 위의 상륜부는 일부가 결실되어 있으며, 현재는 앙화(仰花) 위에 복발(覆鉢)이 거꾸로 얹혀져 있다. 전반적으로 고려 전기의 일반형 석탑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1984년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86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 전통사찰총서 17)
'불교이야기 > 성암사 다라니108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24차 다라니기도순례 (0) | 2012.10.04 |
---|---|
제23차 다라니순례 예천 원명사 (3) (0) | 2012.08.23 |
제23차 다라니순례 태백산 정암사(1) (0) | 2012.08.22 |
제22차108다라니순례 원주 구룡사 (0) | 2012.07.22 |
제22차 다라니순례 여주 신륵사(2) (0) | 2012.07.22 |